서울시

서울역사편찬원, 코로나시대 서울의 공공의료역사 발자취 조명

일제강점기~해방 이후까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 과정을 밝힌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 발간

작성일 : 2021-07-09 15:09 기자 : 이민수

- 위생·방역·보건의 공공의료 관리 문제를 행정·각종 단체·의료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함으로써, 서울 공공의료의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어

 

1933년 한성의사회 기념 촬영(사진제공:서울시)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6월 30일(수), 서울역사중점연구 제11권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을 발간하였다.

 

서울역사편찬원에서는 서울 역사의 미개척 및 취약 분야 연구를 장려하고자, 2016년부터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를 기획하여 편찬하였다. 신진연구자의 발굴을 통하여 서울역사 전문가의 저변을 꾸준히 확대해 가고 있으며,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은 그 시리즈의 제11권으로 발간된 것이다.

 

수록된 총 7편의 서울 공공의료 관련 연구논문은 20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구축된 한국의 공공의료의 형성 과정을 서울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였다. 특히 위생·방역·보건 등 공공의료의 문제는 한국사회의 탈식민·분단·냉전 등의 문제와 함께 연동되었고, 서울은 행정과 의료 서비스의 중심지로서 한국의 공공의료를 주도했다.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원아(서울대 강사)의 ‘일제강점기 경성 의료인 단체의 결성과 활동’을 통해서 식민도시 경성의 조선인 의사들이 활동한 상황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김영수(연세대 연구교수)의 ‘1930년대 경성부의 위생시설과 그 평가’에서는 경성의 전염병 발생에 대응한 경성부의 위생사업 전환과 그것에 대한 의료계·위생 관료들의 평가를 다루었다.

 

세 번째로 김진혁(연세대 연구원)의 ‘광복 이후 서울대학 의학부·경성의학전문학교 통합 과정과 의미’에서는 두 학교의 통합 과정을 통해서 공공의료 확보를 위한 의료 인력 문제와 그 해결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로 정무용(명지대 객원교수)의 ‘미군정기 보건후생부의 활동과 서울의 공중보건’에서는 광복 이후 공중보건을 담당한 미군정 보건 당국의 활동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다섯 번째로 이동원(서울대 교수)의 ‘1950년대 유엔 및 유엔군 기구의 활동과 서울의 보건행정 변화’에서는 서울의 보건행정 변화를 미군정기, 정부 수립 및 6·25전쟁기, 휴전 이후 시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여섯 번째로 한봉석(이화여대 연구교수)의 ‘1950~1960년 서울의 공중보건과 외국민간원조단체의 역할’에서는 결핵 치료사업의 사례를 통해서 1950~1960년대 공중보건과 사회복지 분야의 외국 원조의 실태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조민지(서울대 강사)의 ‘1960~1970년대 서울시 공중보건 정책과 간호 인력’에서는 1960~1970년대 서울시를 중심으로 간호 인력 수급문제를 살펴보았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의 가격은 1만 원이고, 시민청 지하 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하여 온라인(https://store.seoul.go.kr)을 통해서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를 비롯한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는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과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ttps://history.seoul.go.kr)에서 제공하는 전자책으로도 열람이 가능하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백신 수급·접종 및 각종 방역활동으로 그 어느 때보다 공공의료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서의 발간으로 한국 의료 행정·서비스의 중심인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 과정을 주목하는 계기가 되고, 향후 후속연구가 이어지며 2천년 서울 역사의 체계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더 좋은 <서울역사중점연구> 시리즈를 발간하도록 많은 연구자와 시민들의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인쇄 스크랩 목록

서울시 이전 기사

닫기
닫기
닫기